archive 닫기

과거자료

한경협소식

Home 한경협소식 보도자료·발표문

보도자료·발표문

url복사
보도자료·발표문

시가총액으로 본 산업별 미래 국제 경쟁력 분석

  • 부서 : 기업제도팀
  • 작성일 : 2023-07-13
  • 조회수 : 1620

주력 산업인 반도체·소재·자본재, 美·中·日과 경합 전망


- 상위 5개 산업군에 시가총액 63.1% 편중 (총 25개 산업)

   * 하드웨어(23.7%)·자본재(15.2%)·소재(9.8%)·제약(8.4%)·미디어(6.0%) 順

- 금융·헬스케어ㆍ운송 등 서비스 산업 주요국 대비 경쟁력 약해 

- 안정적 산업 포트폴리오 통해 경쟁력 강화하려면 관련 규제부터 타파해야


  주요국 산업별 시가총액 비중을 분석한 결과, 국내 미래 주력 산업이 주요국과 치열하게 경합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13일 한국, G5, 중국의 업종별 시가총액 비중과 산업별 경합 수준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 주가는 미래에 기대되는 수익 흐름을 나타내므로 미래 가치에 대한 전망을 반영


韓, 10년간 시가총액 비중「제약·미디어·반도체」↑, 「자동차·보험·소재」↓


  ’22년 국내 상장기업 시가총액 산업군별 비중은 ‘기술 하드웨어 및 장비(23.7%)’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자본재(15.2%)’, ‘소재(9.8%)’, ‘제약, 생명공학, 생명과학(8.4%)’,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6.0%)’ 순으로 비중이 컸다.

* 자본재는 생산 과정에서 사용되는 재화 및 서비스로 기계, 장비, 부품, 자재 등이 있음



   * 전체 시가총액 중 비중이 5% 초과하는 산업군 기준(자료 및 산업 분류 기준 : Capital IQ)


  과거 10년 산업별 시가총액 비중 추이를 살펴보면 ’22년 ‘제약, 생명공학, 생명과학(6.2%p↑)’,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3.3%p↑)’ 산업군의 비중은 ’12년 대비 증가한 반면, ‘자동차 및 부품(6.0%p↓)’, ‘보험(2.3%p↓)’ 등의 비중은 10년 전에 비해 감소하였다.




  시가총액 비중이 증가한 산업별 대표 기업을 살펴보면, ‘제약, 생명공학, 생명과학’ 산업군의 셀트리온은 4.4배(5.2조→23.0조),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군의 네이버는 2.7배(10.0조→26.6조),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산업군의 SK하이닉스는 2.9배(17.8조→51.6조) 증가하였다. (’12년 대비 시가총액)




주요국 시가총액 비중,「헬스케어·반도체·미디어」↑,「유틸리티·은행·에너지」↓


  ’22년 주요국의 상장기업 시가총액 비중을 비교한 결과, 대부분 ‘자본재’, ‘소재’ 등의 비중이 컸다. 주요 국가별 시가총액 기준 상위 3대 산업군을 보면 한국은 ‘기술 하드웨어 및 장비(23.7%)’, ‘자본재(15.2%)’, ‘소재(9.8%)’, 미국은 ‘소프트웨어(9.6%)’, ‘제약, 생명공학, 생명과학(8.9%)’, ‘금융 서비스(8.6%)’, 중국은 ‘자본재(12.3%)’, ‘소재(10.0%)’, ‘은행(9.2%)’, 일본은 ‘자본재(14.7%)’, ‘자동차 및 부품(8.0%)’, ‘기술 하드웨어 및 장비(6.0%)’ 순이었다.


<주요국 주력 산업군별 비중(’22년)>



  최근 10년간 산업군별 추이는 주요국 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났다. ’12년 대비 ‘헬스케어 장비 및 서비스’와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비중은 주요 국가에서 증가한 반면, ‘유틸리티’, ‘은행’, ‘에너지’ 비중은 대부분 감소하였다.




주력 산업 美·中·日과 경쟁 전망,「금융업·소프트웨어」는 경쟁력 부족


  ’22년 시가총액 데이터로 ‘현시비교우위지수(RCA*)’를 산출하여 국가 간 산업 경합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기술 하드웨어 및 장비’, ‘소재’, ‘자본재’,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등의 산업군에서 비교우위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 이외의 기대비교열위 사업으로는 ‘금융 서비스(0.34)’, ‘필수소비재 유통 및 소매(0.35)’, ‘헬스케어 장비 및 서비스(0.38)’, ‘유틸리티(0.42)’, ‘식품·음료·담배(0.48)’ 등이 존재


  ’22년 주요국의 ‘현시비교우위지수’를 비교한 결과, 한국은 미국, 중국, 일본과 각각 4개 산업군에서 비교우위가 겹칠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미국과는 하드웨어와 반도체, 중국·일본과는 소재와 자본재 등에서 비교우위가 겹쳐 장래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반면 장래 주요국 간 경쟁이 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보험’, ‘운송’, ‘부동산 관리 및 개발’ 등의 산업군에서 한국은 비교우위를 갖지 못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부가가치가 큰 금융업(은행·보험)에서 향후 국제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데 반해 한국의 금융업은 경쟁력이 낮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산업 경쟁력 강화 위해 관련 규제 혁신해야


  한국의 산업 구조는 하드웨어와 반도체에 편중된 가운데, 이를 포함한 주력 산업에서 주요국과의 경합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부가가치가 큰 금융, 헬스케어 등에서 한국은 경쟁력이 뒤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어 경쟁력 제고가 시급한 상황이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균형 있는 산업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한국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를 위해 반도체 등 경쟁력 우위 산업에 대한 과감한 R&D 세액공제 지원과 더불어 금융 등 경쟁력 열위 산업의 발전을 가로막는 규제 혁신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 [첨부] 산업별 대표 기업

과거자료
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