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닫기

과거자료

한경협소식

Home 한경협소식 보도자료·발표문

보도자료·발표문

url복사
보도자료·발표문

매출 500대 기업 조사 2023 ESG 경영 트렌드

  • 부서 : ESG팀
  • 작성일 : 2023-02-15
  • 조회수 : 4358

기업 93%, 경기 악화에도 ESG경영 유지‧확대

- 매출액 500대 기업 대상 2023 ESG 트렌드 조사 -


- ESG 중 가장 중요한 이슈, E(환경) 82%, S(사회), G(지배구조) 각 9%

- E(환경) 중요 이슈, 온실가스 감축(47.0%) > 에너지전환(17.1%) > 친환경 기술개발(17.1%) 順

- S(사회)는 산업 안전ㆍ공급망 ESG / G(거버넌스)는 준법 시스템 강화가 주요 이슈

- 챗GPT 제시 5대 2023 ESG 키워드 : 탈탄소ㆍ순환경제ㆍ기후대응ㆍ사회정의ㆍ투명성


  2023년 ESG 경영 규모는 작년보다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 회장 허창수)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 ESG 실무자를 대상(100개사 응답)으로 「2023 ESG 트렌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93.0%가 올해 ESG 경영 규모를 작년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겠다고 응답했다(작년 수준 유사 57.0%, 작년보다 증가 36.0%, 작년보다 감소 7.0%). 


  전경련은 올해 ESG 사업 규모 확장의 배경을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글로벌 공감대 확산과 사업구조 전환을 통한 ESG 경영 환경의 정착으로 분석했다.




실무 주요 이슈는 환경(82.0%)이 가장 높아, 

기후변화 대응 전략ㆍ탄소 감축목표 설정 활발


  EㆍSㆍG 중 가장 중요한 이슈로는 E(환경)이 82.0%로 가장 높았다. S(사회)와 G(지배구조)는 각각 9%였다. 올해 환경 분야 이슈로는 ▶탄소배출량 감축이 47.0%로 가장 높았으며, ▶신재생 에너지 전환 17.1%, ▶친환경 기술개발 17.1%, ▶대기ㆍ수질 오염관리 9.7%, ▶순환경제 활성화 9.1%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NDC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기후변화 대응전략과 구체적 감축목표도 수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약 절반(48.0%)은 기후변화 대응전략을 수립했고, 58.0%는 구체적인 탄소감축 목표를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 NDC 203O : 파리기후변화 협정에 따라 참가국이 스스로 정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한국은 2021년 10월, 상향된 NDC 2030 목표치를 발표함(2018년 대비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 40% 감소).


S(사회) 부문 주요 이슈는 사업장 안전ㆍ보건 관리...

기업 두 곳 중 한 곳은 공급망 ESG 관리에도 신경 써


  사회 분야 주요 이슈로는 ▶산업재해(안전ㆍ보건 관리)가 31.1%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노사관계(15.3%),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14.4%)를 주요 사회 이슈로 꼽았으며, ▶인권경영(12.0%), ▶인적자원관리(9.1%), 제품ㆍ서비스 품질관리(6.7%), ▶다양성ㆍ포용성(4.8%), ▶지역사회관계(4.3%) 등이 뒤를 이었다(기타 2.3%).

* 거버넌스 주요 이슈로는 ▶준법ㆍ윤리경영 시스템 강화 38.5%, ▶ESG 정보공시ㆍ평가 대응 28.0%, ▶ESG위원회 운영 실효성 확보 16.8%, ▶이사회 전문성ㆍ다양성 확보 16.1%, ▶기타 0.6% 順


  기업 두 곳 중 한 곳은 협력사와 공급망 ESG 관리를 시행하거나 시행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시행 27.0%, 시행 예정 29.0%). 주요 공급망 ESG 관리 내용에 대해서는 ▶공급망 ESG 전반에 대한 관리가 50.0%, ▶탄소배출량 관리 등 환경 실사 27.6%, ▶강제노동 금지 등 인권 실사 9.2% 순이었다.


  전경련은 이에 대해 올해부터 독일에서 공급망 인권 실사(Due Diligence)가 의무 적용되고 글로벌 주요국이 공급망 ESG 관련 규제를 시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향후 기업들의 공급망 ESG 관리는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독일 공급망 인권 실사(Due Diligence) : 강제노동 금지 등 인권보호를 목적으로 2023년 1월부터 시행된 공급망 인권 실사 법안. 독일 내 조업기업의 직ㆍ간접  공급업체까지 해당 법안의 적용대상임




  한편 지난 12월 공개된 오픈형 AI 챗GPT는 2023년의 ESG 키워드를 묻는 질문에 ①탈탄소, ②순환경제, ③기후복원력(기후변화대응), ④사회정의(다양성ㆍ포용성), ⑤투명성의 5개를 꼽으면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ESG 키워드를 제시했다.


글로벌 ESG 규제 다변화 대비한 국내 대응 역량 강화 필요... 전문 인력 육성해야


  기업은 ESG 경영 수행의 가장 큰 애로사항을 ▶ESG 관련 규제의 다변화ㆍ고도화(35.4%)로 꼽았다. ▶전문인력 등 ESG 관련 전문성 부족(21.7%)이 뒤를 이었고, 그 외 ▶ESG 평가부담 심화(16.8%), ▶과도한 비용 소모(15.5%), ▶낮은 사업 관련성(9.9%) 순이었다. 


  이에 대한 정부ㆍ국회 등에서 추진해야 할 ESG 지원정책으로는 ▶글로벌 ESG 규제 대응 역량 강화가 30.3%였으며 그 뒤로 ▶ESG 전문인력 육성(27.0%), ▶감세ㆍ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24.3%), ▶자금조달 등 금융지원 확대(17.8%) 등이 있었다.




  기업은 ESG 평가대응에 대한 어려움도 토로했다. ▶평가업체마다 다른 평가결과로 인한 예측가능성 저하가 ESG 평가 대응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혔고(56.0%), ▶평가요소 비공개로 인한 평가 대비 어려움(21.0%), ▶ESG 컨설팅 비용 부담(17.0%)이 뒤를 이었다. 전경련은 이를 평가기관이 다양해지면서 구체적인 평가요소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평가요소 공개를 통해 기업의 ESG 평가 대응능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ESG 정보공시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항으로는 ▶국내 공시제도 간소화ㆍ단일화가 38.0%로 가장 높았고, 그 외 ▶공시 전문인력 육성 지원(32.0%), ▶공시 대비 유예기간 부여(20.0%) 등이 꼽혔다.




[첨부] 2023 ESG 트렌드 조사표 

과거자료
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