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 > 보도자료·발표문
보도자료
4월 BSI(88.0), 한달 만에 80대로 반락
- 종합경기 전망 BSI(88.0), 회복 추세 꺾이며 80대로 재진입
* ’25.1월(84.6)부터 3월(90.8)까지 상승 후 4월(88.0) 다시 80대로 하락
* 3년 1개월 연속 기준선(100) 하회하며 역대 최장기 부진 지속
- [업종별] 제조업(92.0)·비제조업(84.2) 4개월 연속 동반 부진
* 비제조업 BSI 4개월 연속 90선 미만, ’20.7월(코로나19) 이후 최초
* 반도체 포함된 전자 및 통신 장비 18.9P 급락으로 부정 전환
- [부문별] 내수(91.4)·수출(93.9)·투자(93.3) 10개월 연속 악화
- 글로벌 경기 둔화 가시화, 사업재편·투자 위축시키는 상법 개정안 재논의 필요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 이하 ‘BSI’)를 조사한 결과, 2025년 4월 BSI 전망치는 기준선 100주1)을 하회한 88.0을 기록주2)했다.
BSI 전망치는 올해 1월(84.6) 급락 후, 2개월 연속 회복세를 보이면서 지난 3월 90.8로 반등했으나 한 달만에 다시 80대로 하락주3)했다.
* 주1) BSI가 100보다 높으면 전월 대비 긍정 경기 전망, 100보다 낮으면 부정 경기 전망
* 주2) ’22년 4월(99.1)부터 기준선 100을 3년 1개월 연속 하회. 역대 최장기 연속 부진 경신
* 주3) 종합경기 BSI(전망치): 97.3(’24.12월), 84.6(’25.1월), 87.0(2월), 90.8(3월), 88.0(4월)
3월 BSI 실적치는 91.9로 조사되었다. 실적치는 2022년 2월(91.5)부터 3년 2개월 연속 부진으로 나타나 기업들의 실적 악화가 장기화되는 모습이다.
업종별 4월 경기전망은 제조업(92.0)과 비제조업(84.2)의 동반 부진이 예상된다. 제조업 BSI(92.0)주4)는 2024년 4월(98.4)부터 1년 1개월 연속 기준선(100)을 하회했으며, 비제조업 BSI(84.2)는 올해 1월(84.9)부터 4개월 연속주5)90선 아래에 머물렀다. 특히, 비제조업 BSI가 4개월 연속 90선 미만을 기록한 것은 코로나19로 거리두기가 시행되며 내수가 극도로 위축되었던 2020년 7월주6) 이후 처음이다.
* 주4) 제조업 BSI 전망치 : 100.5(’24.3월) 98.4(4월) 95.5(5월) 95.9(6월) 88.5(7월) 94.8(8월) 93.9(9월) 96.4(10월) 91.1(11월) 89.9(12월) 84.2(’25.1월) 93.0(2월) 95.1(3월) 92.0(4월)
* 주5) 비제조업 BSI 전망치 : 105.1(’24.12월) 84.9(’25.1월) 81.4(2월) 86.3(3월) 84.2(4월)
* 주6) 비제조업 BSI 전망치 : 58.2(’20.4월) 66.2(5월) 78.8(6월) 72.4(7월)
제조업 세부 업종(총 10개) 중에서는 ▸일반․정밀기계 및 장비(111.1)가 유일하게 호조 전망을 보였다. 기준선 100에 걸친 의약품 등 3개 업종주7)을 제외한 6개 업종주8)은 업황 악화가 전망된다.
* 주7) ▸목재․가구 및 종이 ▸의약품 ▸비금속 소재 및 제품
* 주8)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80.0) ▸식음료 및 담배(83.3) ▸석유정제 및 화학(89.7) ▸전자 및 통신장비(86.7) ▸자동차 및 기타운송장비(90.9) ▸금속 및 금속가공 제품(92.0)
한경협은 최근 세계 각국의 무역 장벽이 높아지면서, 글로벌 수요 둔화에 대한 우려가 기업심리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풀이했다.
비제조업 세부 업종(총 7개)은 기준선(100.0)에 걸친 여가․숙박 및 외식(100.0)을 제외한 전 부문주9)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 주9) ▸전기ˑ가스ˑ수도(68.4) ▸정보통신(75.0) ▸건설(76.2) ▸운수 및 창고(88.5) ▸도ˑ소매(90.4) ▸전문, 과학ˑ기술 및 사업지원서비스(92.9)
한경협은 계절적 수요 감소가 예상되는 전기·가스·수도(68.4)와 경기 부진이 장기화주10)되고 있는 건설업(76.2)을 중심으로 부정적 심리가 우세했다고 밝혔다. 내수 경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도·소매업(90.4)도 전월(100.0) 대비 9.6p 급락한 모습을 보였다
* 주10) 건설업 산업생산지수(전년동기비, %, 통계청) : 7.8(’23년)→ 4.1(’24.1Q)→ △3.1(’24.2Q)→ △9.0(’24.3Q)→ △9.7(’24.4Q)→ → △27.2(’25.1월)
4월 조사 부문별 BSI는 전 부문주11), 주12)에서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내수, 수출, 투자의 트리플 악화는 지난달에 이어 10개월 연속 동반 부진했다.
* 주11) ▸고용 91.4 ▸내수 91.4 ▸자금사정 92.2 ▸채산성 93.0 ▸투자 93.3 ▸수출 93.9▸재고 102.5
* 주12) 재고는 기준선 100을 상회할 경우 부정 전망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관세 및 보호무역 확대 등 글로벌 교역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주요국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주13)되고 있다” 라며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해 기업결합 규제주14) 등을 완화하고, 투자와 사업재편 등의 의사결정을 지연시키는 상법개정 논의를 지양할 필요가 있다”라고 주장했다.
* 주13) OECD 경제전망 수정(’25.3월) : 세계 3.3%→3.1%, G20 3.3%→3.1%, 美 2.4%→2.2%. EU 1.3%→1.0%, 韓 2.1%→1.5%, 日 1.5%→1.1%
* 주14) 불황 산업의 경우, 사업재편으로 시장점유율이 상승하더라도 기업결합 허용
※ [첨부1] 업종별 전망(종합경기)
※ [첨부2] 부문별 전망
※ [별 첨] 통계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