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행사·세미나

뉴스룸 > 보도자료·발표문

뉴스룸

보도자료·발표문

보도자료·발표문 검색
  • 6400

    지역 중소제조업 60.8% 인력난…수도권 중장년 지방중기 취업유도 필요< 지역 중소기업 인력난 현황 및 정책과제 조사 > - 지역 중소기업 과반(51.4%), 현재 인력난 겪어… 제조업은 60.8%에 달해- 인력난 직종은 ‘기술·생산직’(35.3%), 원인은 ‘낮은 급여·복리후생’(32.9%)- 지역 중소기업 과반(52.2%), 중장년 채용

  • 6399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53%주1) 적용 時 감축비용주2) 최대 9만원/톤 전망<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에너지전환’주3) 집필진 초청 세미나 > - 삼중고* 겪는산업계 ’35년 감축비용 약 10배 증가(’24년평균배출권가격比) * 막대한 자본 투입 부담, 저탄소 혁신기술의 미성숙, 저탄소제품에 대한 시장 부족 ** ’24년

  • 6398

    민관 합동 ‘팀코리아’가 ‘청년 일자리 르네상스’ 연다2025 상생협력 채용박람회 개최 > - 15년 만의 대규모 경제계 공동 상생채용박람회, 정부·대기업·협력사 총출동- 청년 10명 중 7명 “취업 공백 경험”… 기업 58% “인재 채용 쉽지 않다”- 류진 회장, “청년 채용은 사회적 책임인 동시에 미래를 위한 최고의 투자” - 12월까지 온라인 채용

  • 6397

    한경협, 美 몬태나 주지사 및 몬태나 사절단 환영 리셉션 개최 류진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 회장은 10월 20일(월) FKI타워에서 그렉 지안포르테(Greg Gianforte) 몬태나(Montana) 주지사와 방한사절단, 그리고 한국의 주요 기업들을 초청해 환영 리셉션을 개최하였다. 몬태나주 사상 최대 규모 방한 사절단이 참석한 이번 리셉션은

  • 6396

    류진 회장, 한경협 경영자문 우수기업 ㈜청우코아 방문 - 류진 회장, “㈜청우코아, 기술력과 전략으로 글로벌 경쟁력 입증한 모범 사례”- ㈜청우코아, 한경협 경영자문단과의 협업으로 수출 2.5배, 매출 16.9% 성장- 경영자문단의 컨설팅 통해 25년 하반기 美 상호관세 부과에 선제적 대응-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수행으로 온실가스 감축 및 대기오염

  • 6395

    룩셈부르크 방한단 한경협 방문 및 MOU 체결식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10월 20일(월) FKI타워를 방문한 룩셈부르크 대표 민간경제단체인 FEDIL과 양국 경제협력 강화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체결은 룩셈부르크 경제사절단의 사상 첫 방한 일정으로, FEDIL은 주한룩셈부르크대사관 개관(2024년) 이후 처음으로 한국을 공식 방문했다

  • 6394

    한경협, 2025 FKI-PIIE-OECD 국제 컨퍼런스 개최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오는 10월 27일(월) 오전 9시 30분부터 FKI타워 컨퍼런스센터 3층 다이아몬드룸에서 <2025 FKI-PIIE-OECD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한경협이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이하 ‘PIIE’), 경제협력개발기구(이하 ‘OECD’)와

  • 6393

    한경협국제경영원, ‘CES 2026 글로벌사업단’ 모집... 미래 기술 혁신 현장 동행 -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6’, 내년 1월 6~9일 美 라스베이거스 개최- 데니스 홍 UCLA 교수·IT 전문가 동행, 로봇·AI·디지털 혁신 기술 심층 분석- 경영진·실무자 맞춤형 3개 코스 구성, 글로벌 트렌드 체험형 연수 기회 제공 한국경

  • 6392

    제32회 한일재계회의 공동선언문2025년 10월 17일도쿄, 일본경제단체연합회회관1.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와 일본경제단체연합회(이하 경단련)는 2025년 10월 17일 도쿄 경단련회관에서 제32회 한일재계회의를 개최했다. 한경협 측은 류진 회장을 비롯한 14명, 경단련 측은 츠츠이 요시노부 회장을 비롯해 11명의 재계 리더가 참석했다.2. 한일 양국

  • 6391

    한·일 재계, 새로운 60년을 위한 ‘한일 경제협력 2.0 시대’ 약속 - 류진 한경협 회장, 양국 협력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한일 경제협력 2.0’ 다짐- [통상 협력] 글로벌 통상환경 공동 대응, 경제연계강화 제도적 틀 마련- [다자 협력] CPTPP 한국 가입 공동 노력, 다자무역질서 회복 공동 기여- [수소·AI 협력] 수소 안전성 확보, 인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