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배너

in Story & News

진주에 투영된
17세기 네덜란드 해상무역의 번성

17세기 네덜란드 화가 요하네스 페르메이르(1632~1675)의 걸작 <진주 귀걸이 소녀>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초상화 중 하나로 꼽힌다. 네덜란드 마우리츠하위스 미술관의 최고 소장품인 이 그림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에 버금가는 인기를 누리며, ‘서유럽의 <모나리자>’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 2006년 네덜란드 일간지 트라우호(Trouw)가 뽑은 ‘가장 아름다운 그림’에 선정되기도 했다. 소녀의 청순한 미모를 뛰어난 예술적 기법으로 표현한 이 작품은 아름다운 초상화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17세기 네덜란드가 해양 강국으로 전 세계 무역을 독점하며 황금기를 누렸던 시대의 경제적 번영과 해상 무역의 역사가 반영됐다.

이명옥 사비나미술관장

페르메이르, 진주 귀걸이 소녀, 1665. 사진

페르메이르, <진주 귀걸이 소녀>, 1665.
네덜란드 마우리츠하위스 미술관 소장

<진주 귀걸이 소녀>는 17세기 네덜란드의 경제적 번영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소녀의 진주 귀걸이는 동인도 회사를 통한 아시아 무역의 산물이었다.

페르메이르, 저울을 든 여성, 166 사진

페르메이르, <저울을 든 여성>, 1664.
햇빛이 들어오는 방 안에서 저울을 든 여성을 묘사한 작품으로, 물질적 가치와 영적 가치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모습을 보여준다. 빈 저울과 <최후의 심판> 그림은 삶의 균형, 정의, 영원한 가치에 대한 성찰을 상징하며 페르메이르 특유의 빛과 그림자, 색채의 조화가 돋보인다.

부의 상징 진주, 상인 계층의 부와 지위를 드러내다

그림 속 소녀가 착용한 진주 귀걸이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를 통해 아시아에서 수입된 값비싼 사치품으로, 네덜란드가 해상 무역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했던 배경을 알려주는 중요한 단서다.
유럽에서 가장 국토가 작은 나라 중 하나인 네덜란드가 세계 무역을 주도하며 유례없는 경제적 번영을 누렸던 배경은 무엇일까? 첫째, 이 시기 네덜란드는 북해와 발트해를 연결하는 지리적 위치에서 해상 무역에 유리했다. 또한 선진화된 조선술과 항해 기술을 보유해 다른 유럽 국가들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장거리 무역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기존 선박보다 건조 비용이 저렴하고 많은 양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플뢰위트선’(네덜란드어 ‘fluijt’)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화물선을 개발해 해상 운송 비용이 크게 절감됐다. 이는 네덜란드가 다른 유럽 국가들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상품을 거래할 수 있도록 했으며, 무역량 증가에 기여했다.
둘째, 네덜란드는 1602년 세계 최초의 주식회사인 동인도 회사(VOC)를 설립해 아시아·아프리카·아메리카 대륙으로 진출하는 한편 약 2세기 동안 아시아 무역을 독점하며 세계 최대 무역회사로 성장했다. 동인도 회사를 통해 향신료·차·비단 등을 수입하고 유럽 각지에 판매해 엄청난 이익을 얻었으며, 해외 식민지 개척으로 막대한 부를 축적하는 등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셋째, 네덜란드의 수도인 암스테르담을 중심으로 상업적 자유를 보장하고, 증권거래소와 같은 금융 기관을 세계 최초로 설립해 자본 조달과 무역 활동을 지원했다. 선진적인 금융 시스템은 해상 무역에 필요한 자금 조달을 용이하게 하고, 투자를 활성화해 경제 성장에 기여했다. 국제무역의 중심지로 경제, 예술, 과학기술이 찬란하게 꽃피웠던 이 시기를 ‘네덜란드 황금시대’라고 부른다. 당시 해상 무역과 직물, 금융 거래로 큰돈을 번 상인 계층이 네덜란드 사회의 새로운 지배세력으로 등장했다. 현실적이고 경제적 성공을 통해 얻은 부를 과시하고자 하는 욕망이 강했던 상인들은 동인도 회사를 통해 동남아시아와 홍해 등지에서 수입된 천연 진주와 같은 귀한 보석을 선호했다.
희귀하고 아름다운 진주는 부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사치품이었으며, 여성들 사이에서는 순결과 매력의 상징으로 여겨져 진주 장신구에 대한 열풍이 불었다. 페르메이 르는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영향을 받아 진주를 그림의 소재로 한 여러 점의 그림들을 그렸다. 다음 작품들은 진주 목걸이나 귀걸이를 착용한 여성들이 모델을 섰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페르메이르가 왜 ‘진주를 사랑한 화가’로 불리는지 알려준다.

진주 이미지

페르메이르는 빛의 마술사로 불릴 만큼 빛의 효과에 매료된 화가였다. 진주는 그 자체로 빛을 발산하고 반사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빛의 실험을 적용하기에 이상적인 소재였다.

진주에 깃든 빛의 과학, 예술과 광학 혁신의 산물

특히 <진주 귀걸이 소녀>는 화가의 진주에 대한 애정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걸작이다. 페르메이르는 커다란 진주 귀걸이를 착용한 소녀를 통해 당시 네덜란드의 상인 계층이 누리던 물질적 풍요와 해상 무역의 중요성을 시각적으로 강조했다.
페르메이르가 진주를 즐겨 그렸던 또 다른 요인이 있다. 네덜란드 황금시대는 경제적 번영으로 과학기술과 예술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새로운 지식과 기술이 등장하면서 빛과 광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고, 이러한 시대적 흐름이 예술가들에게 창조적 자극을 주었다. 화가들은 빛과 색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사물의 질감과 형태를 실제처럼 생생하게 묘사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페르메이르는 빛의 마술사로 불릴 만큼 빛의 효과에 매료된 화가였다. 빛이 사물에 부딪혀 반사되고 굴절되는 현상을 정밀하게 관찰하고, 이를 캔버스에 옮기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했다.
곡선 모양의 진주는 그 자체로 빛을 발산하고 반사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빛의 반사 효과를 탐구하기에 이상적인 소재였다. 곡선 모양의 표면을 이용해 주변 사물을 비추는 페르메이르의 혁신적인 기법은 <진주 귀걸이 소녀>가 착용한 진주 귀걸이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진주의 표면에 반짝이는 하이라이트는 둥근 형태와 광택, 매끄러운 표면의 질감을 생생하게 전달하는 한편 소녀의 옷깃, 창문 등 주변 공간을 희미한 형상으로 담아내며 작품에 깊이감과 생동감을 부여한다.
이러한 작품의 탄생 배경에 관한 설명을 통해 페르메이르에게 진주는 단순한 장신구가 아니라 시대성을 반영하고 예술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중요한 소재였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진주 귀걸이 소녀>는 17세기 네덜란드의 사회적·경제적·문화적 요소와 페르메이르의 혁신적인 표현 기법, 빛에 대한 탐구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물이다. 네덜란드 황금기의 시대정신을 담아낸 <진주 귀걸이 소녀>는 미술과 문학, 영화, 대중문화에도 많은 영감을 줬다. 미국 작가 트레이시 슈발리에의 장편소설 『진주 귀고리 소녀』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됐고, 영국 피터 웨버 감독의 영화로도 제작돼 큰 성공을 거두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창조되며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페르메이르, 진주 목걸이를 한 여인, 1664. 사진

페르메이르, <진주 목걸이를 한 여인>, 1664.
햇빛이 드는 방 안에서 진주 목걸이를 하는 여성을 그린 작품으로, 진주 목걸이와 거울은 아름다움, 허영심, 자기 성찰 등을 상징한다. 페르메이르 특유의 섬세한 표현과 빛의 사용으로 여성의 모습과 실내 공간을 사실적으로 묘사해 당시 여성의 일상과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

페르메이르, 편지를 쓰는 여인, 1665. 사진

페르메이르, <편지를 쓰는 여인>, 1665.
책상에 앉아 편지를 쓰는 젊은 여인을 묘사한 작품으로,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자연광이 그녀의 얼굴과 손을 부드럽게 비추며, 주변 사물의 질감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배경의 어두운 벽과 책상 위의 소품들은 당시 서신 문화를 엿볼 수 있게 하며, 페르메이르의 예리한 관찰력과 빛의 활용 능력을 잘 보여준다.